포스트

(Day 75) JSP 기본 지식

PDF

JSP

JSP의 구동 원리

  • 웹서버가 jsp에 대한 요청을 HTTP 프로토콜을 따라 받는다. (java ee 기술이 다 구현된 웹서버거나, 서버쪽 기술만 들어간 서블릿 컨테이너만 존재하는 경우나 모두 같다)
  • JSP로 만든 서블릿 객체를 찾아본다. 여기서 JSP로 만든 서블릿 객체란, 임시 폴더에 생성된 클래스 파일을 말한다.
    • 만약 생성되어 있는 클래스가 없다면 JSP Engine이 해당 java 소스를 생성하고, java compiler가 해당 소스를 컴파일하여 바이트코드가 담긴 클래스 파일을 만든다.
  • 클래스 파일을 찾았음에도 jsp파일의 변경이 감지된 경우 재생성/재컴파일한다.
  • 서블릿 컨테이너가 클래스 파일을 실행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init()을 호출한다.)

JSP는 인터프리터가 라인별로 실행해 줄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java 소스로 컴파일하고, java compiler가 다시 class 파일로 컴파일하여 실행되는 방식이다.

JSP의 태그

JSP 태그는 다섯 종류가 있다. 그리고 태그 없이 쓰는 template data가 있다.

  1. directive element: <%@ %>
  2. declaration element: <%! %>
  3. scriptlet: <% [java statement] %>
  4. expression element: <%=[java expression] %> expression: 값을 리턴하는 statement
  5. jsp action tag: <jsp:[ ] [ ] />
  6. template data: 태그 없이 그냥 작성하면 됨
  7. comment: <%– [ ] –>: HTML 주석과 닮았다.

안에 들어가는 statement 들은 출력문(out.print(), out.write()) 안에 들어가는 parameter들이 될 것이다. 어떻게 변환되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JSP 파일

  • 자바 서블릿 클래스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된다.
  • 그래서 서블릿 클래스를 만드는 “틀”이라 해서 “템플릿(template)”이라 부른다.
  • JSP를 템플릿 기술이라 부르기도 한다.
  • JSP 파일을 가지고 서블릿을 만들 때 HttpJspPage를 구현해야 한다. ```
  • 클래스 계층도 Servlet
    • init(ServletConfig):void
    • destroy():void
    • service(ServletRequest, ServletResponse):void
    • getServletInfo():String
    • getServletConfig():ServletConfig +—> JspPage
      • jspInit():void
      • jspDestroy():void +—> HttpJspPage
        • _jspService(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void ```

JSP 에서 HTML 주석을 작성하면

다른 템플릿 데이터와 다를 것이 없다. 그대로 HTML로 보내서 HTML 주석이 만들어진다. JSP 주석으로 작성하면 보내지 않는다.

JSP의 태그가 어떻게 변환되는가

JSP 태그는 다섯 종류가 있다. 그리고 태그 없이 쓰는 template data가 있다.

  1. directive element: <%@ %> 이 태그 안의 내용은 java code 형태로 바로 바뀌는 것이 아니라, JSP Engine 에게 알려주는 정보이다.
  2. declaration element: <%! %> 멤버(필드나 메서드)를 선언하는 문장을 넣는다. 들어가는 위치는 class 블럭이다. HTML로 출력하는 경우라면 out.write() 혹은 out.print()를 사용해야 한다. out.print() 혹은 out.write() 안에 파라미터로 들어간다.
  3. scriptlet: <% [java statement] %> _jspService 메서드 안에 코드 그대로 들어간다.
  4. expression element: <%=[java expression] %> expression: 값을 리턴하는 statement 출력문으로 바뀌는데, 출력문 내의 파라미터가 위 java expression으로 바뀐다.
  5. jsp action tag: <jsp:[ ] [ ] />
  6. template data: 태그 없이 그냥 작성하면 됨
  7. comment: <%– [ ] –>: HTML 주석과 닮았다.

directive element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import="java.net.Socket"
    import="java.net.ServerSocket"
    import="java.util.List,java.util.Map,java.util.Set"
    trimDirectiveWhitespaces="true"
    buffer="8kb"
    autoFlush="false"%>
<%@ page import="java.sql.Connection"%>
<%@ page import="java.sql.Statement"%>

지시문 1) page

  • 서블릿 실행과 관련하여 특정 기능을 설정한다. 2) include
  • 다른 파일의 내용을 복사해온다. 3) taglib
  • JSTL 등 외부에서 정의한 태그 정보를 가져온다.

page 지시문

1) language=”java”

  • JSP 페이지에서 코드를 작성할 때 사용할 언어를 지정한다.
  • 즉 <% 코드 %>, <%= 표현식 %>, <%! 코드 %> 태그에 코드를 작성할 때 사용할 언어이다.
  • 원래는 다양한 언어를 사용할 경우를 고려해 설계되었지만, 현재는 java 언어만 사용 가능하다.
  • 이 속성은 생략해도 된다.

2)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 다음 자바 코드를 생성한다.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3) pageEncoding=”UTF-8”

  • JSP 파일의 인코딩을 설정한다.
  • JSP 파일을 저장할 때 UTF-8로 저장한다면 위와 같이 선언하라.
  • 생략한다면 에디터에 설정된 문자집합으로 인코딩할 것이다.

4) import=”java.net.Socket”

  • 자바의 import 문을 생성한다.
  • 사용법 import=”java.net.Socket” => 자바 코드: import java.net.Socket; import=”java.net.Socket,java.net.ServerSocket,java.util.List” => 자바 코드: import java.net.Socket; import java.net.Serversocket; import java.util.List;
  • 한 개의 page 지시문에 여러 개의 import를 작성할 수 있다.
  • 여러 개의 page 지시문을 작성할 수 있다.

5) trimDirectiveWhitespaces=”true”

  • 지시문 끝에 줄바꿈 코드를 무시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6) buffer=”8kb”

  • 출력 버퍼의 크기를 변경할 때 사용한다.
  •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이 8kb 이다.
  • 출력 내용이 버퍼의 크기를 넘으면 예외가 발생한다. 서블릿에서는 자동으로 출력하였다. 그러나 JSP는 예외가 발생한다.

7) autoFlush=”true”

  • 출력 버퍼가 찼을 때 자동으로 출력한다.
  • 기본은 true 이다.
  • false로 설정하면 출력 버퍼가 찼을 때 예외가 발생한다.

8) errorPage=”URL”

  • JSP를 실행하는 중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포워딩할 URL을 지정한다.

9) isErrorPage=”true|false”

  • JSP 페이지가 예외를 처리하는 페이지인지 지정한다.
  • true로 설정하면, 포워딩할 때 받은 예외 객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Throwable 타입의 exception 빌트인 객체가 추가된다.

include 지시문

1
2
3
<%@ include file="./ex08_header.txt"%>
<p>테스트</p>
<%@ include file="./ex08_footer.txt" %>

1) file=”JSP에 포함시킬 파일 경로”

  • 지정한 파일을 JSP로 포함시킨 후에 자바 서블릿 클래스를 생성한다. 자동 생성된 자바 서블릿 클래스의 소스를 확인해보라!
  • 따라서 일반 텍스트 파일이면 된다. JSP 파일일 필요가 없다.
  • RequestDispatcher의 include()와 다르다.
  • 비록 JSP 파일이 아니더라도 다음을 선언하여 해당 파일의 문자집합을 지정해야 한다. <%@ page pageEncoding=”UTF-8”%> JSP 엔진이 해당 파일의 내용을 가져올 때 pageEncoding에 지정된 문자집합으로 내용을 인식한다. 또한 JSP 엔진은 <%@ page …%>는 참고만 할 뿐 가져오지는 않는다.

<jsp:include [ ]/> 와 달리 삽입 후 컴파일할 뿐이다. RequestDispatcher가 사용되지 않는다.

tablib

1
2
3
4
5
dependencies {
    // JSTL 라이브러리
    implementation 'javax.servlet:jstl:1.2'
    ...
}
1
2
3
4
5
6
7
...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
<c:forEach items="홍길동,임꺽정,유관순,안중근,윤봉길,김구,김원봉" var="n">
이름=<%=pageContext.getAttribute("n")%>, ${n}<br>
</c:forEach>
...

items는 한 개의 문자열을 추출하여 보관함(PageContext, JspContext를 상속함)에 넣는다. 이 보관함은 라이프사이클이 개별 JSP service() 호출 시작/끝과 동일하다. 최근에는 JSP를 쓰는 일은 많지 않기에 JSP를 깊게 배우지는 않는다… (타임리프를 쓰거나, vue, react가 대세가 됐다.)

tablib 지시문 => 외부에 따로 정의된 JSP 확장 태그를 가져올 때 사용한다. => JSP 확장 태그 1) JSTL(JSP Standard Tag Library) - JSP 명세에 추가로 정의된 태그이다. - Servlet/JSP API에서는 JSTL 구현체를 제공하지 않는다. - 따로 구현된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mvnrepository.com에서 JSTL 라이브러리를 검색하여 프로젝트에 추가하라. - 보통 apache.org 사이트에서 구현한 것을 사용한다. 2) 개발자가 정의한 태그 - 개발자가 따로 태그를 정의할 수 있다. - 그러나 실무에서는 유지보수를 일관성을 위해 JSTL과 같은 표준 API를 사용한다. - 즉 개발자가 자신의 회사에서만 사용할 태그를 따로 정의하지 않는다.

=> 사용법 <%@ taglib uri=”확장 태그를 정의할 때 부여한 확장 태그 URI” prefix=”확장태그를 사용할 때 붙이는 접두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접두사가 있으므로 따르도록 하자) JSP 페이지에서 사용하기 <확장_태그_접두사:사용자_태그명 속성명=”값” …/>

jsp 에서 확장 태그가 등장의 유래

클라이언트가 디자이너/퍼블리셔에게 변경 요청 -> 퍼블리셔가 HTML/CSS 수정하고 Frontend Developer에게 수정 요청 -> FE Dev가 변경

퍼블리셔가 JS/JSP 모르는 경우에도 JSP 편집하도록, 업무 효율성을 높이려고 했던 것이 jsp 등장 유래라고 한다. 요즘은 퍼블리셔가 흔치 않지만..

JSP 빌트인 객체

  • JSP를 가지고 서블릿 클래스를 만들 때 _jspService() 메서드에서 기본으로 준비하는 객체
  • JSP 엔진은 반드시 다음과 같은 이름으로 레퍼런스를 선언해야 한다. 즉 서블릿 컨테이너(ex: 톰캣, jetty, resin 등)에 상관없이 이름이 같다.

1) request - HttpServletRequest => _jspService() 파라미터이다. 2) response - HttpServletResponse => _jspService() 파라미터이다. 3) pageContext - PageContext => _jspService()의 로컬 변수이다. 4) session - HttpSession => _jspService()의 로컬 변수이다. 5) application - ServletContext => _jspService()의 로컬 변수이다. 6) config - ServletConfig => _jspService()의 로컬 변수이다. 7) out - JspWriter => _jspService()의 로컬 변수이다. 8) page - 서블릿 객체를 가리킨다. 즉 this 이다. => _jspService()의 로컬 변수이다. 9) exception - Throwable => _jspService()의 로컬 변수이다.

  • 이 변수는 JSP 페이지가 <%@ page isErrorPage=”true”%>로 설정되었을 때만 존재한다.
  • 주로 오류가 발생되었을 때 실행되는 JSP 페이지인 경우 위 설정을 붙인다.

JSP가 자바로 컴파일된 결과를 확인해보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final javax.servlet.jsp.PageContext pageContext;
javax.servlet.http.HttpSession session = null;
final javax.servlet.ServletContext application;
final javax.servlet.ServletConfig config;
javax.servlet.jsp.JspWriter out = null;
final java.lang.Object page = this;
javax.servlet.jsp.JspWriter _jspx_out = null;
javax.servlet.jsp.PageContext _jspx_page_context = null;


try {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Context = _jspxFactory.getPageContext(this, request, response,
        null, true, 8192, true);
  _jspx_page_context = pageContext;
  application = pageContext.getServletContext();
  config = pageContext.getServletConfig();
  session = pageContext.getSession();
  out = pageContext.getOut();
  _jspx_out = out;
...

경로: 서버 루트와 웹 애플리케이션 루트

서버루트와 웹앱루트가 다른 경우

  • http://localhost:8888/myapp/board/list
    • 서버:포트 뒤에 /는 서버루트.
    • myapp 뒤에 /는 웹애플리케이션 루트. Contect Root 라고도 한다.
    • 서버 설정에 따라 Context Path를 변경할 수 있다.
    • 루트의 절대경로 또한 서버 설정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1
      2
      3
      4
      5
      6
      
      // 톰캣 서버에 배포할 웹 애플리케이션의 환경 정보 준비
          StandardContext ctx = (StandardContext) tomcat.addWebapp(
              "/", // 컨텍스트 경로(웹 애플리케이션 경로)
              new File("src/main/webapp").getAbsolutePath() // 웹 애플리케이션 파일이 있는 실제 경로
          );
          ctx.setReloadable(true);
      

JSP 액션 태그

=> JSP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JSP 전용 태그 => 따로 taglib를 사용하여 라이브러리를 선언할 필요가 없다. => JSP에서 기본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 네임스페이스 이름은 jsp 이다. <jsp:태그명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h1>JSP 액션 태그 - jsp:useBean, jsp:setProperty</h1>
<%-- bitcamp.vo.Board 객체 생성하기 --%>
<jsp:useBean id="b1" class="com.eomcs.web.vo.Board" scope="page"/>
<%-- 
위 태그의 자바 코드:
com.eomcs.web.vo.Board b1 = (com.eomcs.web.vo.Board) pageContext.getAttribute("b1");
if (b1 == null) {
  b1 = new com.eomcs.web.vo.Board();
  pageContext.setAttribute("b1", b1);
}
--%>

<%-- scope을 생략하면 기본이 page(PageContext)이다. --%>
<jsp:useBean id="b2" class="com.eomcs.web.vo.Board"/>

<jsp:useBean id="b3" class="com.eomcs.web.vo.Board"/>

<%-- 객체의 setter 메서드를 호출하기 --%>
<jsp:setProperty name="b3" property="no" value="100"/>
<jsp:setProperty name="b3" property="contents" value="내용입니다."/>
<jsp:setProperty name="b3" property="viewCount" value="88"/>
<%-- 단, 자바 객체의 프로퍼티 타입이 자바 원시 타입과 문자열인 경우 가능하다.
     다른 타입이라면 따로 처리해야 한다. --%>
<%-- 
<jsp:setProperty name="b3" property="createdDate" value="2019-4-8"/>
--%>

<%=b1%> => out.print(b1);<br>  
<%=b2%> => out.print(b2);<br>
<%=b3%> => out.print(b3);<br> 
<%=b3.toString()%> => out.print(b3.toString());<br>

</body>
</html>

jsp:useBean

=> JSP에서 사용할 객체를 생성할 때 사용할 수 있다. => 또는 보관소(ServletContext, HttpSession, ServletRequest, PageContext)에 저장된 객체를 꺼낼 때도 사용한다. => 사용법
=> 주요 속성 scope - 객체를 꺼내거나 생성된 객체를 저장할 보관소 이름 - 다음 4개의 값 중 한 개를 지정할 수 있다. 값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이 “page” 이다. application(ServletContext), session(HttpSession), request(ServletRequest), page(PageContext) id - 객체를 꺼내거나 저장할 때 사용할 이름 class - 보관소에서 객체를 찾을 수 없을 때 생성할 객체의 클래스명 - 반드시 패키지 이름을 포함해 클래스명(fully-qualified name; FQName)을 지정해야 한다. <%@ page import=”…”%> 를 선언해도 소용없다. - 객체를 꺼내는 경우 레퍼런스의 타입으로도 사용된다. - 객체를 생성할 때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콘크리트(concrete) 클래스명이어야 한다.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는 객체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안된다.

pageContext ~~~Scope… 일관성이 없게 작명되었기에 그냥 pageContext부터 찾으니 pageContext에 넣고 저장소를 명시하지 않고 변수를 사용하는 것이 낫다.

  • type 속성 대신에 class 속성을 사용하면
  • id로 지정한 객체를 찾지 못했을 때 해당 객체를 만들고,
  • 그 id로 보관소에 저장한다.
  • 단 class 속성에는 generic 문법을 사용할 수 없다.
  • 또한 보관소에 객체가 없을 때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 class 속성에는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없다.

errorPage

=> JSP를 실행하는 중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실행할 JSP를 지정할 수 있다.

=> 어떻게? <%@ page errorPage=”URL”%>

=> 이 속성에 URL을 지정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했을 때 서블릿 컨테이너의 기본 오류 출력 페이지가 실행된다.

isErrorPage => 오류가 발생했을 때 실행되는 JSP 쪽에서 그 오류 내용을 받을 때 사용한다.

1
2
3
<%@ page 
    ...
    errorPage="ex20_error.jsp"%>

오류가 발생했을 때 실행되는 JSP 페이지는 exception이라는 변수를 통해 오류 내용을 받을 수 있다.

단, isErrorPage 속성이 true이어야 해당 변수가 준비된다.

1
2
3
4
5
<%@ page 
    ...
    isErrorPage="true"%>
...
<%=exception.getMessage()%>

exception 변수는 JspRuntimeLibrary 클래스를 통해서 공유된다.

1
2
3
4
5
6
7
  public void _jsp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Throwable exception = JspRuntimeLibrary.getThrowable(request);
    if (exception != null) {
      response.setStatus(500);
    }
    ...
  }

JspRuntimeLibrary는 ServletRequest 객체를 통해서 exception을 받는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public class JspRuntimeLibrary {

  ...

  public static Throwable getThrowable(ServletRequest request) {
    Throwable error = (Throwable)request.getAttribute("javax.servlet.error.exception");
    if (error == null) {
      error = (Throwable)request.getAttribute("javax.servlet.jsp.jspException");
      if (error != null) {
        request.setAttribute("javax.servlet.error.exception", error);
      }
    }
    ...

JspContext는 서로 다른 jsp간 공유가 불가능하므로 ServletRequest 에 저장될 것이 예상될 수 있다.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